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투자전망, 메타버스, nft 호재

테라 생태계에 대한 과도한 우려(ust 페깅 등등)

테라 생태계에 대한 과도한 우려(ust 페깅 등등)

테라 생태계에 대한 과도한 우려(ust 페깅 등등)
테라 생태계에 대한 과도한 우려(ust 페깅 등등)

하락장이 되면서 저는 단순히 현업에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로서 최근에 개발하고 있던 smart contract 기초를 어느 정도 땠습니다. 간단한 토큰 개발, NFT 개발, 오라클 시세 불러오기 등등 딱 기초만 배웠습니다. 백엔드 개발자다 보니 프런트를 거의 안 해봐서, 이 부분을 많이 해보고 있습니다. 아무튼.. 투자에 있어서는 이미 이전에 설명한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 포트폴리오에 대한 비율입니다. 보는 것과 같이 저는 원래 포트폴리오가 UST 가 대부분입니다. 보수적인 투자로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애초에 인텔같은 게이 종목으로 장투를 하는 사람이다 보니 테라 생태계에서도 UST 위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UST 만 해도 최소 19% 이율이고, 아스트로 포트 같은 혜자 이벤트로 어느 정도 손실 헷지가 되어있어서 그나마 하락장을 버티기 쉬웠던 거 같습니다.

UST 페깅 이슈, 앵커 리저브 문제

아직 끝난건 아니지만, 최근 UST 페깅 이슈, 앵커 리저브 문제 등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UST 1$ 를 못 지키는 문제는 계속 얘기해 왔던 문제 중에 하나입니다. 사실 모든 스테이블 코인에 있는 문제로, 거래소를 쓰다 보면 깨지는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닙니다. 바이낸스가 나오기 전에 제가 쓰던 거래소인 Okex의 UST/USDT 차트입니다. 오늘 크게 빠진 거로 보이지만, 이전에도 1% 까지 내려간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하게도, 해당 거래소에 유동성이 상당히 부족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좀 많이 쓰는 거래소로 봐야 정상이긴 합니다. 바이낸스로 보는 게 가장 정확하지만, 바이낸스에서 UST 가 나온 지 얼마 안 되었습니다.

UST를 오랫동안 리스팅 했던 Kucoin의 그래프

여기는 USDT/UST 차트기 때문에 위로 올라간게 깨진 상태입니다. 이전에 10% 까지도 비싸게 산 사람들이 있었네요. 거래소 유동성 문제였고, 오랫동안 문제 됐던 5월 구간과 현재 구간이 문제입니다. 5월에는 서서히 오르다가 한번 쭉 오르고, 다시 정상으로 복귀했습니다. 이번에는 사실 루나 가격 문제로 떨어진 것도 아니며, MIM 으로 인한 FUD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MIM을 UST를 담보로 발급하다 보니, MIM에 문제가 생기니 연계된 프로젝트들이 차례대로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특히 가장 말 많았던 UST를 이용한 안전 레버리지 앵커 파밍 방법 때문에 큰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UST 자체의 문제보다 MIM의 문제라고 볼 수 있기에, 1~2% 정도의 꺠지는 정도면 원상 복귀할 가능성이 높을 거 같습니다. 루나의 가격도 MIM으로 인해 많이 발급된 UST로 인해 소각 이슈로 오른 게 있다 보니, 해당 부분이 문제가 생기면서 루나의 가격에도 타격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정도 페깅 이슈는 사실 아무런 걱정이 안 됩니다. 5~10%까지 깨진다고 하면, 오히려 MIM 레버리지 한 애들을 다 쓸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좋다고 생각합니다.